학과소개

졸업 후 진로

01 진로분석 및 진로 세분화

1) 윤리교육과 학생들이 지향하는 진로는 1차적으로 중등학교 도덕ㆍ윤리 교사이나, 일부 졸업생들은 사립 중등학교 교사로 진출하기도 합니다.

2) 그 밖에 교직 이외의 다양한 진로를 모색하는 학생이 늘어나 교육전문직으로 진출하거나, 서울 또는 외국의 대학원에 진학하여 공부하는 학생이 있습니다.

   일부는 각종 국가공무원이나 공기업체 직원으로 재직합니다.

3) 교직으로 진출하지 않는 졸업생들은 사설학원의 전문 강사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일부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 및 교육 전문 기업에 취업합니다.

02 차별화된 목표 진로 선정

1) 교사임용을 희망하는 경우 임용시험 합격을 거친 국공립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없이 개별 서류전형과 면접을 통해  임용되는 사립 중등학교 교사, 한시적이나마 기간제 교사의 선택이 있습니다.

    초등학교 교사임용을 희망하는 경우 교육대학원에 편입하기도 합니다.

2) 취업을 희망하는 경우 학부과정에서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의 종합적 교육과정 훈련을 받은 윤리교육과의 특성상 다양한 진로를 모색 가능합니다. 학부에서 교육받은 교양과 전공소양을 발판으로 국가공무원, 공기업체 직원, 언론사, 사교육 시장의 전문 강사, NGO단체, 직업군인(정훈장교, 여군 장교)에 진출 가능하며, 일반 기업체에도 진출합니다.

3) 진학을 희망하는 경우 국내 대학원이나 외국의 학부, 대학원 과정을 통해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교수직이나 기타 전문 연구직에 진출합니다.

03 목표 진로별 교육과정

1) 교사 임용을 희망하는 경우 기존의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의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합니다.

2) 취업을 희망하는 경우 본인의 선호에 따라 경영대학, 사회과학대학, 인문대학 등의 전공 교육과정을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의 경우에도 어학능력, 컴퓨터 활용능력 함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04 목표 진로별 차별화/특성화 방안 수립

1. 교사 임용을 목표로 하는경우

1) 스터디 그룹 운영 활성화 및 지원체제 확립

  • 재학생은 1학년 2학기부터 스터디 그룹에 참여
  • 학과 교수들은 스터디 그룹 활동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지도
  • 현직 교사 졸업생들을 임용시험 준비특강강사로 활용하고, 인터넷 상의 자료와 수험준비 교재 등을 지원

2) 학과 동창회 조직의 활성화를 통해 장기적으로 학과발전기금 모금 체제를 확립

3) <도덕윤리교과교육연구회>와의 유기적인 협조와 지원

4) 지도교수제도의 운영으로 스터디 그룹 활동을 지도


2. 일반 취업을 목표로 하는 경우

1) 학과 내규로 외국어 능력 및 컴퓨터 활용능력 졸업자격 인증제 강화

2) 발전기금을 통해 재학생들의 어학교육원 수강비 지원

3) 지도교수제도의 운영으로 개인 선호에 따른 타 학과 수강과목 지도

4) 프레젠테이션 능력, 논술 및 면접능력 향상을 위한 지도

5) 국가 공무원 시험 준비반을 별도로 운영

6) 학과 교수들의 취업지원 활동 강화